Ⅱ. 자료형 (6. 집합)
집합(Set) = 집합에 관련된 것들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원소를 모아놓은 자료형. # 원소들을 중괄호 {}로 둘러싼 형태입니다. 개념 형태 뜻 집합 (Set) S = {a,b,c,...} S = set(B) S = 집합 a,b,c = 원소 B = 데이터 원소들 a,b,c를 모아놓은 집합 S를 만들어. 데이터B를 쪼개어 집합S를 만들어. s = {1,2,3,4,5} print(type(s)) b = [1,2,3,4,5] s = set(b) print(s) {1, 2, 3, 4, 5} 6-(1) 집합의 기본 특징 중복 허용X : 집합의 원소들이 중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 ☆중복 제거를 위한 필터로 사용됩니다. s = set('Hello') print(s) {'H', 'e', 'o', 'l'} 순서가..
더보기
Ⅱ. 자료형 (5. 딕셔너리)
딕셔너리(Dictionary) =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 대응 관계를 갖는 자료형. # key와 value의 쌍 여러 개를 중괄호 {}로 둘러싼 형태입니다. 개념 형태 뜻 딕셔너리 (Dictionary) D = {A : a, B : b, C : c} D = dict(Z) D = 변수 A,B,C = 이름표(key) a,b,c = 데이터(value) Z = 2개의 데이터 쌍 변수에 이름표와 데이터를 짝지은 세트를 저장한 것. (key-value set) d = {'a':1,'b':2,'c':3} print(type(d)) a = ['a','b','c'] b = [1,2,3] c = zip(a,b) d = dict(c) print(d) {'a': 1, 'b': 2, 'c': 3} 5-(1) 딕셔너리의..
더보기
Ⅱ. 자료형 (4. 튜플)
튜플(Tuple) = 여러 요소들의 집합을 저장하는 자료형. # 리스트와 달리 튜플 요소들은 값을 변경할 수 없는 Immutable한 데이터 타입입니다. # 리스트와 수정 가능성만 다르고 나머지 성질은 동일하지만 데이터를 수정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걱정없이 사용해야할 때 또는 수정불가능한 데이터를 사용해야할 때 사용합니다. 개념 형태 뜻 튜플(Tuple) A = (a,b,c) A = a,b,c A = tuple(B) A = 튜플 a,b,c = 데이터 B = 튜플로 만들고자 하는 데이터 변수에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한 것 a = (1,2,3) print(type(a)) b = 'hello' a = tuple(b) print(a) ('h', 'e', 'l', 'l', 'o') 4-(1) 튜플의 기본 특징 ..
더보기
Ⅱ. 자료형 (3. 리스트)
리스트(List) = 여러 요소들의 집합을 저장하는 자료형. # 새로운 원소를 추가하거나 갱신, 삭제하는 일이 가능하며 리스트 요소들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Mutable한 데이터 타입입니다. 개념 형태 뜻 리스트(List) A = [a,b,c] A = list(B) A = 리스트 B= iterable 데이터 변수에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한 것. # list() 형태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() 안에는 iterable한 데이터(튜플, 딕셔너리,문자열, 집합)를 사용해야함. ☆Iterable = 반복가능한. → 원소를 하나씩 쪼개어 차례로 반환할 수 있는 객체.(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) Iterable한 객체는 for문제 하나씩 사용 가능함. a = [3,'BTS','강'] print(a) [3..
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