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-(1) Python의 2가지 동작 방식
파이썬은 다음과 같이 인터프리터 방식과 스크립트 방식 등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.
방식 | 인터프리터(Interpreter) 방식 | 스크립트(Script) 방식 |
뜻 | 개발자와 대화하는 형태로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고 결과를 바로 볼 수 있는 사용 방식. | 대본, 스크립트를 만들고 개발자가 필요할 때 파일을 불러서 실행하는 방식. |
장점 | 간단한 명령어를 즉시 실행할 수 있음. | 긴 작업을 수행해야할 때 효과적임. |
단점 | 긴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매번 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부분이 불편하고 느림. | 간단한 명령어를 실행, 처리하는 부분에서 불편함. |
3-(2) Python 인터프리터 방식
- 인터프리터(Interpreter) =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환경.
인터프리터 방식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에 명령을 한 줄씩 입력하면 곧바로 결과를 컴퓨터가 알려주는 대화형 방식입니다. 이 방식은 결과를 즉시 확인해야하는 경우나 작은 부분을 테스트 하는 경우 등에 매우 편리합니다.

# Python Interpreter, Google Colab, Jupyter Notebook, Visual Studio Code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-(3) Python 스크립트 방식
스크립트 방식은 미리 명령어 파일(대본)을 만들어 놓고 이를 불러와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 이 방식은 복잡하고 긴 명령어를 작성할 때 미리 만들어 놓은 클래스와 함수 파일을 불러오기만 하면 되므로 긴 프로그램을 만들때 사용합니다.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메모장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reate Code File
메모장, Pyhton IDLE, Visual Studio Code 등 다양한 편집기를 사용하여 python 파일을 만듭니다.

메모장 작성 ⇒ 파일 ⇒ 다른 이름으로 저장 ⇒ ’파일이름’.py
Copy File Path
저장한 파이썬 파일의 경로를 복사합니다.

Import File
명령 프롬프트, Goolge Colab 등 다양한 개발환경에서 파일을 불러와 사용합니다.

명령 프롬프트 ⇒ 파일 경로 붙여넣기
*참고 : 점프 투 파이썬
'Programming 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Ⅱ. 자료형 (1. 숫자형) (0) | 2022.04.27 |
---|---|
Ⅰ. Python의 이해 (5. 파이썬 개발환경) (0) | 2022.04.24 |
Ⅰ. Python의 이해 (4. 파이썬 설치) (0) | 2022.04.22 |
Ⅰ. Python의 이해 (2. 파이썬의 특징) (0) | 2022.04.11 |
Ⅰ. Python의 이해 (1. 파이썬이란?) (0) | 2022.04.11 |